분류 전체보기 (61) 썸네일형 리스트형 [논문리뷰] Squat와 SLR 시, 어떤 자세에서 운동하는 게 넙다리네갈래근과 중간볼기근 활성화에 가장 효과적일까요? 무릎 통증에 관한 많은 질환들이 존재하지만, PFPS(Patellofemoral Pain Syndrome-무릎 넙다리뼈 통증 증후군)는 전체 무릎 통증의 11-17%을 차지할 정도로 흔한 질환입니다. 이 질환은 무릎뼈의 안정성을 잡아주는 넙다리네갈래근의 약화 및 불균형으로 발생되거나 중간 볼기근의 약화로 넙다리뼈가 안쪽 돌림과 모음이 되면서 무릎에 가해지는 스트레스가 상승하여 통증을 일으키기도 합니다. 따라서 넙다리네갈래근과 중간볼기근의 강화가 PFPS의 치료에 중요합니다. 이 근육들을 활성화시키는 운동법으로는 Squat와 SLR(Single Leg Raise)이 있습니다. Squat는 닫힌 사슬운동(Closed Kinetic Chain exercise)의 대표적인 예로, 고유수용성 감각을 자극하고 주동.. [KEMA LAB research] 만성 발목 불안정 환자들의 발가락 굽힘 유무에 따른 가쪽번짐근 근전도와 근력 비교 발목 삠 현상은 근골격계 부상 중 가장 흔한 케이스 중 하나이며 특히 운동선수와 같은 활동적인 동작을 수행하는 사람들에게서 많이 발생합니다 만성 발목 불안정이란 통증, 부종, 발목 기능 저하, 갑자기 힘없이 넘어가거나(giving way) 반복적인 발목 삠 현상이 처음 발목 삠 이후로 1년 이상 지속되는 것을 뜻합니다 발목 부상은 기능적 불안정성을 야기하는데, 연구자들은 이것을 부상 후 관절의 감각운동 조절의 변화라고 설명했습니다 감각운동 조절의 변화로 신체 밸런스의 이상, 관절 위치감각의 둔화 그리고 발목주변 근력 약화가 발생하여 만성적인 발목 불안정성이 나타난다는 것이지요 대개 발목은 안쪽 방향으로 꺾이면서 부상을 당합니다 다수의 연구자들은 발목이 안쪽으로 꺾이는 현상에 대해 다음과 같은 의문을 던졌.. [KEMA LAB research] 원엎침근 마찰 마사지에 따른 뒤침 가동범위와 근력의 즉각적인 향상 : 뒤침 가동범위 제한이 있거나 없는 사람간 임상 실험 잠깐 상식! 대표적인 엎침근으로는 1) 원엎침근(pronator teres) 2) 네모 엎침근(pronator quadratus)가 있습니다. 특히, 원엎침근이 짧아질 경우 뒤침 동작의 가동범위 제한이 발생하며, 신경을 압박할 수 있습니다. 엎침 동작은 일상생활에서 자주 보이는 동작입니다. 이러한 엎침 동작을 자주 하거나 엎침 자세를 장시간 취할 경우, 원엎침근이 짧아지고 통증, 가동범위 제한이 발생할 수 있으며 신경 압박으로 인한 신경학적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에, 수술이나 뒤침근 강화 운동 등의 치료들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수술의 경우, 신경 압박을 완화하는 데 도움을 주지 않으며, 뒤침근 강화 운동은 뒤침근에 과도한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다른 방법으로는 원엎침근 스트레칭.. [KEMA LAB research] 어깨충돌증후군의 유무에 따른 어깨바깥쪽돌림 근력과 비대칭 비율 비교 어깨 충돌증후군 (Shoulder impingement syndrome, SIS)은 어깨 통증을 일으키는 가장 흔한 원인 중 하나입니다. 주로 팔을 들 때 회전근개 힘줄(Rotator cuff tendon)에서 마찰이나 압박이 발생해 통증이 나타나게 되는데요. 역학적으로 조립라인 작업자들이나 용접공과 같이 손으로 하는 작업 노동자들에게 충돌증후군을 포함한 어깨 관련 질병이 많이 발생했고, 또한 반복적으로 손을 머리 위로 드는 활동을 하는 사람들에게 어깨 충돌증후군과 어깨 바깥돌림근 약화가 나타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일부 연구에서는 어깨를 바깥으로 돌리는 근육이 어깨 관절에 동적 안정성(Dynamic stability)을 제공하고 회전근개 근육의 힘과 지구력을 증가시켜 어깨 충돌증후군을 예방할 수 있다고 .. [KEMA LAB research] 아래팔 뒤침 가동범위에 제한이 있거나 없는 사람 간 두 가지 자세에서 아래팔 뒤침 등척성 토크 비교 뒤침 동작은 일상생활에서 꼭 필요한 동작입니다 이런 뒤침 동작은 대개 어깨관절이나 손목관절의 움직임을 동반하지요 따라서 뒤침 동작에 제한이 있다면 어깨와 손목에서 과도한 보상작용이 발생하게 되고 주변 관절 구조에 스트레스가 누적될 수 있습니다 또한 가동범위의 제한으로 일상생활에서 뒤침 동작을 사용하지 않고 피하는 것이 반복된다면 결과적으로 뒤침 동작에 필요한 근력의 약화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적절한 토크(torque)를 생성해낼 수 있는 능력은 근골격계 질환 예방과 밀접한 연관이 있습니다 따라서, 약화된 뒤침 근력은 직업적으로 관련이 있는 사람들의 부상 위험을 높일 수 있으며 심지어 테니스 엘보(lateral epicondylitis)와도 연관이 있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대표적인 뒤침근은 (1) 뒤침근(s.. [KEMA LAB research] 통증이 없는 사람들 내에서 허리디스크 유무에 따른 근육 단면적 및 코어 근육 기능 차이 비교 허리 통증을 느껴보신 분들이라면 '나도 혹시...?' 한 번쯤 의심해본 질환, 바로 "퇴행성 허리디스크(intervertebral disc degeneration)"입니다. 퇴행성 허리디스크는 말 그대로 디스크 자체가 퇴행적으로 변하는 것을 뜻합니다. 디스크 구성 성분 중 수분과 콜라겐이 점점 빠져나가면서 디스크 높이가 줄어들고 결과적으로 척추 주변 근육과 인대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선행 연구에 따르면 통증을 동반하는 퇴행성 허리디스크 환자들은 건강한 일반인들에 비해 척추 주변 근육의 단면적이 감소하였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근육의 단면적 감소는 곧 근육의 기능(function and capacity) 감소로 연결되기 때문에 많은 임상가들과 연구자들은 위와 같은 연구결과에 주.. 폼롤러, 아무때나 써도 될까요? 뭇갈래근(multifidus)의 근활성도를 높이기 위한 운동 중 효과적인 방법은 무엇일까요?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