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실금은 30-60대 여성의 30%가 겪는 질병으로,
이 중 절반은 긴장성(복압성) 요실금(Stress Urinary Incontinence)을 경험합니다.
보통 긴장성 요실금은 골반저근과 결합조직의 약화나 손상
또는 요도 괄약근 자체의 약화로 인해 발생합니다.
이전 연구에서 골반저근의 기능장애가 있는 여성에게 여성 성기능 장애가 많이 발생하며,
요실금이 있는 여성은 그렇지 않은 여성보다 성적 만족도가 낮다는 결과가 보고되었습니다.
따라서 골반저근이 약한 여성들은 골반저근 훈련을 통해
긴장성 요실금의 증상과 성기능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골반저근 훈련을 구성할 때는
골반저근의 근력, 지구력 등과 같은 여러 요소를 고려해야 하는데
이전 연구들은 성기능과 근력의 관계에만 초점을 맞추었습니다.
또한 선택적으로 골반저근을 수축시키는 것은
골반저근 기능장애가 있는 여성들에게 어려운 운동이며,
잘못된 수축 방법은 오히려 긴장성 요실금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선행연구에서는 질 주변 또는 엉치부위의 피부에
경피적 전기자극을 주는 방법을 사용했습니다.
골반저근 훈련을 할 때 전기자극을 주게 되면
골반저근의 수축을 촉진시켜 여성 성기능과 요실금을 개선하고
골반저근의 힘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골반저근 훈련을 할 때 경피적 전기자극을 함께 적용하면
골반저근의 근력뿐만 아니라 수축 능력과 지구력도 개선될 수 있을까요?
또한 어떤 요소들이 여성 성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일까요?
위와 같은 궁금증을 해결하기 위해서
긴장성 요실금이 있는 여성들을 두 그룹으로 나누어 8주간 골반저근 훈련을 하는 동안
한 그룹에만 경피적 전기자극을 함께 적용해 그룹 간 골반저근을 비교하고,
골반저근의 기능과 여성의 성기능 사이의 연관성을 알아보았습니다.
여성 성기능 지수(FSFI, Female Sexual Function Index)
6개 항목, 0-6점, 점수가 높을수록 성기능이 좋다고 평가함
실험군과 대조군의 실험 전후 평가
질내압 측정기(perineometer)
3초간 최대 노력으로 안쪽-아래쪽으로 골반저근을 수축하도록 하고
이때 복부/엉덩근육 수축이 없도록 한다.
골반저근 요소 측정
1. 근력(strength) : 휴식기와 최대 압력(mmHg) 사이에 측정, 휴식기 수치는 계산에서 제외하고 2번의 최대 수축 평균값을 사용
2. 수축 능력(power) : 최대수축까지 도달하는 시간(골반저근 수축 시작~최대수축에 도달하는 시점) 당 골반저근의 근력(mmHg/s)
3. 지구력(endurance) 측정 : 한 번에 10초간 골반저근을 수축하는 동안 평균 수축압(mmHg)
실험결과
실험군과 대조군, 그리고 실험군 치료 전후를 비교했을 때
골반저근 수축능력, 지구력과 여성성기능 지수 만족도 항목, 총점에서 뚜렷한 차이가 나타났습니다.
골반저근 지구력의 변화 - FSFI 총점의 변화 사이에 밀접한 관련이 있었습니다. (r=0.437; p=0.006)
또한 골반저근 수축 능력의 변화 - FSFI 만족도의 변화 사이에서도 높은 연관성을 보였습니다. (r=0.420; p=0.008)
경피적 전기자극은 긴장성 요실금이 있는 여성들의 성기능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여성의 성기능을 위한 치료계획을 구상할 때 골반저근의 수축 능력과 지구력을 고려할 것을 제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