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EMA Choice

[논문리뷰] 도무지 나아지지 않는 날갯죽지 통증, 목갈비근도 고려해보셨나요?

 

 

 

날갯죽지 통증(interscapular pain)

임상에서 흔히 발견되는 증상 중 하나입니다.

 

 

 

날갯죽지 통증이 발생하는 원인은 추간판성 요인(discogenic factor)부터 후관절증후군(facet syndrome),

등 상부근육의 근막통증증후군(myofascial pain syndrome)까지 다양합니다.

 

더욱 최근에는, 날갯죽지 통증의 원인을 더 정확히 감별진단하기 위해

등쪽어깨신경(dorsal sacpular nerve: DSN)은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해부학적 구조로 관심받고 있습니다.

 

 

<목 앞, 뒤에서 본 등쪽어깨신경>

 

DSN은 주로 상완신경총(brachial plexus)의 가장 위쪽 가지인 C5 척수 신경 뿌리에서 시작됩니다.

그 후, 앞목갈비근중간목갈비근 사이(interscalene triangle)로 빠져나옴과 동시에

뒤쪽으로 넘어가 어깨올림근, 작은마름근, 큰마름근까지 이어집니다.

 

DSN의 주행경로 중 어느 곳에라도 포착(entrapment)이 발생한다면

특징적으로 어깨뼈의 안쪽모서리(medial border) 쪽에 방사통이 나타나며

심할 경우, C5-C6 피부 분절 부위까지 방사통이 발생할 수 있다고 보고 되었습니다.

 

또한 DSN은 운동신경이기 때문에 이 신경에서 발생하는 포착은

scapular winging과 같은 어깨 기능 장애와도 연관이 있다는 선행 연구들이 발표되었습니다.

 

그러나 DSN의 포착은 증상이 상대적으로 모호하고 유사한 증상이 나타나는 다른 조건들이 많기 때문에

어깨 통증 치료 시 감별진단 과정에서 쉽게 간과되곤 합니다.


최근 어깨 통증 및 기능 장애와 관련된 연구에서

DSN 포획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관심이 커져감에도 불구하고

일반 인구에서 해부학적으로 나타나는 impingement of DSN의 빈도는 알려져 있지 않았습니다.

 

특히 일반적인 상완신경총 주행경로는 앞목갈비근과 중간목갈비근 사이를 빠져나오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사람마다 앞목갈비근과 중간목갈비근을 관통하는 형태를 띠는 경우도 다수 보고 되었습니다.

 

상완신경총과 DSN이 근육을 관통하는 형태를 띄는 사람들은

가슴문증후군(thoracic outlet syndrome)과 같은 질환에 더 쉽게 노출된다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저자는 해부학적으로 DSN의 주행경로가 어떤 목갈비근과 깊은 연관이 있는지 알아본다면

날갯죽지 방사통과 같은 신경학적 증상과 목갈비근 사이의 연관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연구방법


47구의 카데바를 통해 총 90개의 상완신경총 및 DSN을 해부하였습니다.

성별 효과를 제거하기 위해 24구의 남성, 23구의 여성 카데바가 선정되었습니다.

 

 

상완신경총이 어떤 목갈비근을 통과하는지 기록하고

그 후, DSN의 경로에 대해 다음과 같은 5가지 조건을 정해 기록하였습니다.

 

1. DSN이 앞목갈비근을 관통하는 형태

2. DSN이 중간목갈비근을 관통하는 형태

3. DSN이 뒤목갈비근을 관통하는 형태

4. DSN이 앞목갈비근과 중간목갈비근 사이로 빠져나오는 형태

5. DSN이 중간목갈비근과 뒤목갈비근 사이로 빠져나오는 형태

 


연구결과 및 해석


 

상완신경총의 해부학적 경로는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앞목갈비근과 중간목갈비근 사이를 빠져나오는 패턴(38.9%)보다

앞목갈비근을 관통하는 형태(58.9%)가 더 높은 빈도를 보였습니다. 

 

 

 

 

DSN 역시 목갈비근을 관통하는 형태(60.8%)그렇지 않은 상태(39.2%) 보다 더 높은 빈도를 보였습니다.

특히, DSN은 중간목갈비근을 관통하는 형태가 가장 높은 빈도수를 보였습니다.

 

 

 

 

상완신경총과 DSN의 관계를 보면,

상완신경총이 일반적인 경로인 앞목갈비근과 중간목갈비근 사이로 빠져나옴과 동시에

DSN도 목갈비근을 관통하지 않는 형태는 오직 12.3%에 불과합니다.

 

또한, 상완신경총과 DSN 모두 목갈비근을 관통하는 형태를 띠는 경우는 38.4%로 가장

높은 빈도수를 보였지만, 각각의 형태의 카이제곱 검정 상 유의한 차이는 없었습니다.

 


A: DSN이 목갈비근을 관통하지 않고 상완신경총에서 바로 분지 한 경우
B: DSN이 중간목갈비근을 관통하는 경우
C: DSN이 중간목갈비근과 뒤목갈비근 사이로 빠져나오는 경우


저자는 이번 연구를 통해 일반적으로 알려진 신경의 해부학적 경로보다

근육을 관통하는 형태인 신경 포착(entrapment)이 더 흔한 경우일 수 있다고 설명합니다.

 

저자는 DSN 포착이 날갯죽지 통증을 일으킬 수 있는 메커니즘에 대해 총 3가지로 설명하였습니다.


첫 번째,

팔을 위로 올리는 동작에서 목갈비근이 DSN의 신경 자체에서 국소적인 늘어짐을 유발하여

nerve trunk pain (neuropathic pain)이 나타날 수 있다.

 

두 번째,

목갈비근에 의해 압박을 받은 DSN은 마름근의 약화를 불러일으켜 결과적으로 마름근의 근막통증증후군을 유발할 수 있다. (DSN은 감각신경이 아닌 운동신경이다)

 

세 번째,

DSN이 목갈비근에 의해 압박을 받으면 어깨 기능 장애인 scapular winging이 나타나고,

상승한 어깨뼈의 안쪽모서리에 의해 posterior cutaneous branches들이 늘어나면서

통증이 발생할 수 있다.

 


 

앞서 설명드렸듯이 날갯죽지 통증이 발생하는 원인은 다양합니다.

직접적인 치료(열, 초음파, 전기치료 등)를 통해서 증상이 나아지지 않는다면

짧아진 목갈비근에 의해 DSN이 압박되고 있지 않은지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운전 중 습관적으로 팔을 창문에 걸쳐 놓는 행위, 수면 시 팔을 위로 올리는 행위와 같은 일상생활에서부터

작업 중 반복적으로 팔을 올리거나 어깨를 으쓱하는 습관 등 근무 형태까지  

 

KEMA 접근법을 통해 날갯죽지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들이 평소 목갈비근이 짧아지는

동작에 많이 노출되어 있는지 생각해본다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REFERENCE: Williams, A. A., & Smith, H. F. (2020). Anatomical entrapment of the dorsal scapular and long thoracic nerves, secondary to brachial plexus piercing variation. Anatomical Science International, 95(1), 67-75.

 

원문: pubmed.ncbi.nlm.nih.gov/31338726/

 

Anatomical entrapment of the dorsal scapular and long thoracic nerves, secondary to brachial plexus piercing variation - PubMed

Circumscapular pain is a frequent complaint in clinical practice. The dorsal scapular and long thoracic nerves course through the neck, where they may become entrapped between or within adjacent scalene muscles. Additionally, a high frequency of brachial p

pubmed.ncbi.nlm.nih.gov

[KEMA 학회 공식 사이트] ▶ www.kema-academy.com/main

[KEMA 학회 인스타그램] ▶ www.instagram.com/kema_academy/